2014년 12월 미항공우주국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렌치라는 공구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지구에서 똑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렌치를 비교하였다. 이 실험은 우리 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모두 가져갈 수 없는 우주에서 필요한 물건을 제작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3D란 3차원을 일컫는 말로서, 1차원은 선 또는 곡선, 2차원은 변화가 없는 면적, 3차원은 우리가 사는 공간을 말한다. 집에서 쓰는 잉크젯 프린터 또는 레이저 프린터는 A4 용지를 통해 면에 인쇄를 하는 2D 프린터이다. 3D 프린터는 종이의 인쇄면 같은 2D에 위아래의 개념을 더해 공간에 인쇄를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입체형 모형의 인쇄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난감의 모양을 입력받아 똑같이 만들거나 사람얼굴을 인식하여 석고상을 만들 수 있다.
3D 프린터는 기업에서 어떤 물건을 제품으로 만들기 전에 시제품(제품을 본격적으로 만들기 전에 시험삼아 만들어보는 제품)을 만들어 제품의 품질을 미리 높히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산업용 뿐 아니라 의료용, 생활용으로도 그 이용분야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2016년 7월 30일
ETRI IT 어린이 기자단 (5기)
(강원 원주초등학교 4학년) 김 재 훈 기자
'5기 IT어린이기자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류가 만든 최고의 프린터기-3D프린터 (0) | 2016.07.31 |
---|---|
3D프린팅 (0) | 2016.07.31 |
ETRI로 출발! (0) | 2016.07.31 |
3D 프린터, 최첨단 만능 도구 (0) | 2016.07.31 |
3D프린팅 이란 (1) | 2016.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