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기 IT어린이기자단 자료

내가 좋아하는 IT기술-3D프린터

대전 어은초 백성은

 

제가 좋아하는 IT 기술은 바로 3D 프린터입니다.

3D프린터는 3차원 인쇄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프린터입니다. 3차원 인쇄 기술은 연속적인 계층의 물질을 뿌리면서 3차원 물체를 만들어내는 제조 기술입니다. 아래에서는 3D프린터의 원리, 3D 프린팅 제작과정과 다양한 적용에 대하여서 알아보겠습니다.

1. 3D프린터의 원리

일반적인 3차원 가공방식은 적층가공과 절삭가공의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먼저 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이란 가루나 액체 형태의 재료를 굳혀가며 한 층씩 쌓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복잡한 모양을 만들 수 있고, 제작과 채색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완성품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품질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도 있습니다. 

다음 절삭가공(subtractive manufacturing)이란 재료를 공구로 깎아가며 모양을 만드는 방식으로, 우리가 미술시간에 조각하여 물건을 만드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비교적 매끄럽게 인쇄할 수 있지만 컵 같은 복잡한 모양은 날이 들어가지 않아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중 3차원 인쇄는 주로 적층가공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3D프린터의 원리가 무엇이냐고 물어보신다면, 평면 사진을 한층 한층씩 쌓아나가는 적층가공법을 사용한다고 말씀해 주시면 됩니다.


2. 3D프린터를 활용한 인쇄물 제작 순서

다음은 3D프린터를 사용하여 인쇄물을 제작하는 과정입니다.

먼저 전체적인 제작 과정을 요약하면 모델링-프린팅-마무리의 순서를 따릅니다.

모델링이란 일반적으로 CAD 또는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이용하여 3차원 데이터를 완성하는 단계입니다. 3D 스캐너를 이용해 3차원 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프린팅은 기계가 모델링 과정에서 만들어진 도면을 이용해 물체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인쇄 과정은 사용 방법과 모델의 크기와 복잡성에 따라 몇 시간에서 며칠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마무리 단계는 인쇄된 결과물에 대해서 필요할 경우 사포로 연마하거나, 색칠하거나, 인쇄된 파트들을 조립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는데 이를 마무리 공정이라고 합니다.


3D 프린터는 아직 우리 생활에 많이 적용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앞으로의 전망은 우리 생활 거의 대부분에 적용될 정도로 무궁무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부품등의 정밀 기계 가공과, 보석 가공, 특히 의료용으로 많은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의료용에서는 인공 장기나 의수, 의족 등... 상상도 하지 못할 만큼 많은 의료기구들이 나올 것입니다. 3D프린팅을 이용한 미래는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지금까지 제가 좋아하는 IT기술, 3D프린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3%EC%B0%A8%EC%9B%90_%EC%9D%B8%EC%87%84